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종교개혁2

어거스틴의 인간이해 어거스틴의 인간이해 본 통찰은 이신형 교수님의 과목 "고대기독교사상사"를 수강한 윤경자님의 글임을 밝힙니다. I. 서론 초기의 Augusitne은 그의 독백록(Soliloquia)에서 자신은 하나님과 영혼 이외에 다른 것을 알고자 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후기에 갈수록 교회봉사와 성서연구 덕분으로 신플라톤적인 색체는 거의 없어지고, 죄와 은총의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게 된다. '하나님과 나의 영혼'에 대한 관심이 '교회', '구원', '역사' 등의 관심으로 확대된다. 여기서는 그의 인간이해가 그의 사상적 발전을 어떻게 이끌어갔는지에 대하여만 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II. 본론 1. Augusitne의 사상적 특징 Augusitne의 사상은 한 마디로 말하면, 행복론(eudaemonism) 즉 .. 2024. 3. 7.
평신도 지도자 과연 성경적인가? 평신도 그 역사적 의미는? 교회생활을 하면서 자주 듣게 되는 용어가 ‘평신도’라는 단어다. 사전적 의미로 평신도는 기독교에서 성직을 받지 아니한 신자를 일컫는다. 한국교회에서는 교인, 교우, 성도를 평신도라 부른다. 목사는 별도로 신학 과정을 이수하고 안수를 받은 사람이기에 성직자라고 부른다. 하지만 안수는 목사만 받는 것이 아니라, 장로와 안수집사도 임직 시 안수를 받는다. 그러기에 안수 자체가 직분자를 구분하여 성직자가 되게 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또한 단지 신학을 전공하였다고 해서 그를 성직자라고 하지 않는다. 신학교 교수 중에는 성직자가 아닌 교수들도 있다. 결국 신학 전공이나 안수가 평신도와 성직자를 구분하는 것은 아니다. 본래 개신교에는 별도의 ‘성직자’ 직분이 없다. 이는 종교 개혁자들이 .. 2023.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