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근본주의2

근본주의 신학에 대한 팩트폭행 근본주의의 허와 실 본 글은 제가 존경하며 믿고 따르는 서충원 목사님의 지도 편달이 없었으면 나오지 않았을 글입니다. 나아가 이 글이 나오기까지 아낌없이 지원해주신 복있는 사람 박종현 대표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홍성욱 1 • 서론 오랜 인류 역사를 되돌아보면, 긴장과 갈등으로 이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마르크스는 역사를 계급 간 투쟁으로 이해했으며, 헤겔은 이념들 사이의 경쟁으로, 또 토인비는 도전하는 세력과 응전하는 세력의 엉킴으로, 그리고 신채호는 ‘우리’와 ‘저들’의 쟁투로 이해했다. 인간의 역사는 다른 계급과 신분, 다른 민족과 인종, 다른 생각과 신앙 사이의 끊임없는 마찰과 다툼의 연속이다. 하나의 혁명가 또는 사상가가 ‘섬’일 수 없듯, 어떤 혁명 또는 사상도 지난한 역사와 .. 2024. 3. 13.
한국 기독교의 반지성주의 자공이 물었다. “군자도 미워하는 것이 있습니까?”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남의 허물을 떠들고 다니는 자를 미워하고, 아랫사람으로서 윗사람을 헐뜯는 자를 미워하고, 용감하지만 예의염치가 없는 사람을 미워하고, 자기주장은 고집스럽게 주장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말은 듣지 않는 사람을 미워한다.” [子貢曰: “君子亦有惡乎?” 孔子曰: “惡稱人之惡者, 惡居下流訕上者, 惡勇而無禮者, 惡果敢而窒者.”] ​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자공)야, 너도 미워하는 것이 있느냐?” ​ 자공이 대답하였다. ​ “남의 생각을 표절하여 자신의 지혜로 삼는 것을 미워하고, 불손한 행동을 용기로 여기는 것을 미워하며, 남의 비밀을 들추어내는 짓을 정직하다고 여기는 것을 미워합니다.” [曰: “賜也, 亦有惡乎?” 子貢曰: “惡徼.. 2023. 3. 14.
반응형